
▲DK미디어를 둘러본 후 기념사진을 촬영했다(왼쪽부터 GOODTV뉴미디어디지털국장 박정훈, GOODTV보도제작본부장 이인선, WAKB회장인 김명전 GOODTV 대표이사, DK미디어 이사장 김명찬, DK미디어 대표 김민정). ⓒ데일리굿뉴스
오늘의 한류 콘텐츠가 이른바 ‘K-컬처’로 세계 주목을 끌게 된 것은 1998년 김대중 정부의 일본문화 개방이 발단이다. 일본 대중문화 유입을 전격적으로 허용함으로써 한국문화의 세계 진출 장벽을 무너뜨린 것이다.
한류가 본격적으로 부상한 것은 한국 미디어 산업의 성장을 바탕으로 2000년대 초반, 한국드라마가 세계인의 인기를 끌면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그로부터 20년, 당초 외세문물의 범람으로 한국이 문화식민지로 전락할 것이라는 우려를 말끔히 씻고 ‘K-컬처’라는 이름으로 세계 문화시장을 휩쓸고 있다.
그 중심에 한류의 전도사 역할을 묵묵히 감당한 약 80여개 해외 한인 방송사가 있다. 해외교민 800만 시대, 전세계에는 이들을 대상으로 모국어 방송을 하는 한인방송사들이 있다.
2005년 전세계 한인 방송인들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정보 교류를 통해 해외 교민사회의 화합과 발전에 공헌하기 위해 미국 뉴저지에 본부를 둔 WAKB세계한인방송협회(이하 WAKB)가 창립됐다.
2019년 김명전 회장이 취임한 이후, 이사회 결의를 거쳐 2020년 10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KCA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으로부터 사단법인 세계한인방송협회 최종 설립 허가를 받게 된다.
한국정부의 사단법인으로 등록이 허가된 것은 모국과 해외 한인방송사를 연결하는 공식적인 창구가 열렸다는 의미다.
팬데믹으로 묶였던 발이 풀리면서 한인 방송사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WAKB도 활동을 재개했다. GOODTV-데일리굿뉴스가 WAKB와 합동으로 그 현장을 탐방하는 기획 취재를 연재한다.
최근 들어 한인 이민자들의 유입이 많아진 도시가 있다. 미국에서 알래스카 다음으로 넓은 면적을 가진 텍사스주 달라스다. 텍사스주에만 한인 인구 11만 여 명이 거주한다. 미국의 4대 경제도시 달라스에 위치한 한인방송사 DK미디어를 취재했다.
DK미디어는 달라스 코리안 라디오를 운영하며, 매일 오전 7시부터 오후 4시까지 생방송을 진행한다. 직원 수 35명으로 이 지역에서 유일한 한국어 신문을 발행하고 있다. 라디오, 인터넷 신문을 결합하여 운영하는 홈페이지에는 매일 1만 명이 유입된다.
공항으로 마중까지 나와준 DK미디어 김민정 대표는 방송사로 이동하면서 이민사회에서 한인 미디어의 역할부터 설명했다. 김 대표는 “이민자 사회를 유익하게 하기 위해 문화, 교육은 물론 정서적인 면까지도 고려해 콘텐츠를 제작한다”며 “한국 동포 사회도 한국의 국민들이니 이런 해외 한인 미디어의 역할에 한국정부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달라스 지역 역시 미국 내 타도시와 마찬가지로 미주 한국일보, 중앙일보 등 오프라인 매체는 빠른 속도로 사라지고 있다. 한국 뉴스는 모두 모바일과 인터넷으로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민사회 현지 소식을 실시간으로 전하는 한인방송사의 역할이 중요한 이유다.
방송국에서 이어진 대화에서 DK미디어 김명찬(스캇 김) 이사장은 2018년에 처음으로 참석한 KCA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이하 KCA)이 주관하는 ‘해외한국어방송인대회’에서의 소회부터 털어놨다. KCA는 미디어 산업의 발전에 따라 새로운 방송 장비를 활용한 제작 환경을 소개하는 것에 주력하지만, “해외교민을 대상으로 하는 TV방송은 고비용 부담으로 자체 콘텐츠를 생산할 여력이 없다”고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그는 “해외 교민사회에서 지역의 문화를 담고, 적합한 뉴스 제공을 실시간으로 하려면 라디오가 적합하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김명찬 이사장은 달라스에서 용역사업으로 성공한 한인 교포이다. 2012년, 친구가 김민정 대표와 다락방에서 1년간 운영해오던 한국어 라디오 방송이 월 4만 불의 공중파 주파수 대여료 때문에 허덕일 때 투자 목적으로 인수했다.
김 이사장은 중남부 400km에 송출되는 24시간 한국어 방송으로 언론에 진출해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싶었다고 털어놓았다. 그 같은 의욕으로 본격적인 운영에 앞서 우선 공중파 주파수 AM730을 매입했고, 라디오 스튜디오 세트는 물론 장비도 최신형으로 장만했다.
실제로 DK미디어는 한국어 방송을 하는 라디오 방송사 중 가장 근사한 스튜디오를 갖추고 있었다. 김 이사장의 꿈과는 달리 문제는 그 다음부터 시작됐다. 송출료를 내는 부담은 없어졌지만 계속 적자였다. 김 이사장은 과감하게 콘텐츠에 대한 투자를 결심했다.
2014년부터 텍사스에 진출한 추신수 선수의 경기를 7년동안 라디오에서 생중계 했다. 또한 지역 내 사업가들의 협찬을 받아 이민사회 이벤트를 제공하면서 상승세를 탈 수 있었다. 그러나 그것도 잠깐, 2019년 코로나 팬데믹으로 광고가 60% 이상 중단됐다. 어려움 가운데 2019년 매달 1만불씩 적자를 내던 지역 무가지신문 KTN(Korea town news)을 인수했다. 경쟁사였던 뉴스코리아는 여파를 견디지 못하고 코로나 기간 중 문을 닫았다.
팬데믹은 DK미디어에 기회가 됐다. 최근 들어 텍사스 주에는 신도시가 생겨나며 각지에서 이민자들이 이주해오고 있다. 주거와 교육 환경이 좋고 세금 감면 혜택이 있기 때문이다. 각주마다 차이는 있지만 개인 소득세를 연방 소득세와 주 소득세로 부과한다.
그런데 텍사스 주는 연방세만 납부하면 되고, 법인세도 없다. 테슬라, 삼성 등 글로벌 기업이 몰려드는 이유다. 자연스레 일자리 창출도 이루어진다. 한인 이민자들이 유입되면서 한인 자영업자들도 많이 생겨났다. DK미디어는 KTN신문 지면을 주에서 허락하는 192면까지 늘렸다. 신문이 잡지 두께다.
신문의 두께가 두꺼운 이유가 궁금했다. 김 대표는 “광고도 늘어났지만, 이민자는 맨땅에서 헤딩하듯 먹고 살기 위해 고군분투하는데, 정보에 어두워 부동산 등 사기를 당한다”며, “이민자의 삶을 보호하는 것도 한인 방송사의 역할이기에 더 많은 정보를 담다 보니 두꺼워진다”고 답했다.
라디오와 신문을 같이 하니 시너지도 생겼다. 이에 대해 김 이사장은 “신문을 하지 않았으면 라디오를 접어야 하지 않았을까란 생각까지 했다”고 말했다. 현재 DK미디어 지역신문 KTN 1만 부, 올해 4월부터 발행을 시작한 TCN(Texas Christian News)은 8,000부, 한국어 라디오 방송과 신문이 모두 들어가는 홈페이지에는 1일 1만 명이 유입된다고 했다.
기독교 뉴스가 주를 이루는 TCN 발행 이유를 물었다. 전체 콘텐츠를 총괄하는 김민정 대표는 “동성애, 낙태에 대한 보수입장이 확고한 텍사스를 미주류사회에선 1924년부터 바이블 벨트라고 부른다”고 말을 시작했다. 그는 이어 “지난해 9월, 텍사스 주에선 임신 6주 이후 낙태를 반대하는 낙태법이 발효됐다”며 “마켓에 무료 보급되는 신문인만큼 미전도자에게도 복음을 전하기 위해서다”라고 답했다.
현재 DK미디어는 달라스 지역의 유일한 한인 매체로 자리매김했다. 김 이사장에게 지금의 심정을 물었다. 오너 입장에서 한인 미디어를 운영해 온 지난 시간은 투쟁의 역사라고 말한다.
그는 “미디어는 굉장히 어렵다”며 “그러나 미디어를 잘 몰랐기 때문에 여기까지 올 수 있었고, 결론은 잘한 일이지만 갈 길이 멀다”고 답했다.
분골쇄신하며 일하는 직원들의 열정을 보며 늘 고민한다는 그는 “달라스를 넘어 미국 내 220만 한인 이민사회에 영향력을 주고 싶다”는 바람을 털어놨다.
이민사회의 소통의 통로가 되어보겠다고 다짐하는 김 이사장의 포부를 들으며 GOODTV와 WAKB도 응원하는 마음이 간절해진다.
저작권자(c)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재배